공무원 호봉표와 봉급표, 실수령액 계산법까지 한눈에
공무원 호봉제도란?
공무원 호봉제도는 '근속 연수'에 따라 급여가 체계적으로 오르는 임금체계입니다.
즉, 공무원이 근속할수록 호봉이 오르고, '공무원 호봉표'에 따라 급여가 자동으로 인상됩니다.
직급(예: 9급, 7급 등)과 호봉이 조합되어 '공무원 봉급표'상 기본급이 결정됩니다.
2025년 공무원 봉급표, 호봉표 안내
2025년 소속별, 호봉별 공무원 봉급표는 인사혁신처 공식사이트(mpm.go.kr)에서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.
- 2025년 9급 1호봉 기본급: 2,000,900원입니다. 역대 최대 폭, 6.6% 인상이 적용되어, 저연차와 초임 공무원 처우가 크게 개선되었습니다.
호봉 | 봉급(원) |
---|---|
1호봉 | 2,000,900 |
2호봉 | 2,017,000 |
3호봉 | 2,039,500 |
5호봉 | 2,104,000 |
10호봉 | 2,456,700 |
전체 9급은 32호봉까지 표가 나뉩니다. 인사혁신처 홈페이지에서 "2025 공무원 봉급표" 메뉴를 찾아야 정확한 기준액을 볼 수 있습니다.
호봉 상승과 급여 변화
공무원 호봉은 경력(근속기간), 승진, 군 복무, 과거 경력 인정 등으로 매년 또는 특별 승급 시 상승합니다.
호봉이 오르면 '공무원 봉급표'상의 기본급이 오르고, 수당(정근수당, 직급보조비 등) 역시 일정 기준에 따라 추가로 붙습니다.
예를 들어, 9급 1호봉은 2,000,900원부터 시작해, 5호봉은 2,104,000원까지, 10호봉은 2,456,700원까지 상승합니다.
실수령액 공식 & 계산법
공무원 실수령액 = 기본급 + 수당합 – 각종 공제액
여기서 '공무원 실수령액' 계산 시 반드시 다음을 체크해야 합니다.
- 수당 종류: 가족수당, 직급보조비, 정액급식비, 초과근무수당, 특수지근무수당 등
- 공제 항목: 국민연금(소득x4.5%), 건강보험(3.545%), 장기요양(건강보험료의 12.95%), 고용보험(0.9%), 소득세, 지방소득세 등
실제 2025년 9급 1호봉 공무원 실수령액은 평균적으로 1,519,309원 ~ 1,700,000원 수준으로, 부양가족수와 개인별 수당·공제 차이로 달라집니다.
대략적으로 전체 월급의 15~20% 내외가 공제로 빠집니다.
신뢰도 높은 실수령액 계산기 안내
- 인사혁신처(www.mpm.go.kr)의 봉급표 메뉴에서 본인 직급과 호봉별 기본급 확인 후, 개인 수당·공제내역을 합산해 직접 계산
- 모의계산기 활용: 잡코리아, 사람인, 네이버 연봉계산기에서 '공무원 실수령액 계산기'를 사용하면 4대 보험, 세금 자동 반영한 실수령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단, 세부수당, 특별공제, 자녀수에 따라 실제 금액과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니 입직 전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세요.
공무원 연금·복지: 급여와의 관계
공무원 호봉 상승, 근속 연수가 누적되면 '공무원 연금' 기여금도 매달 자동 공제됩니다. 퇴직 후엔 연금지급 기준(근속 20년 이상 등) 충족 시 급여 일부 비율로 연금 수령이 시작됩니다. 연금액 역시 직전 급여와 호봉이 매우 크게 반영되므로, 평생 소득관리가 체계적으로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
자주 묻는 질문 Q&A
- Q. '공무원 호봉표' 어디서 봐야 정확한가요?
A. 인사혁신처 공식사이트, 국가법령정보센터 봉급/호봉 관련 법령 메뉴에서 확인하세요.
- Q. 실수령액 계산기는 100% 신뢰할 수 있나?
A. 참고는 가능하나, 인사혁신처 기준 기본급/수당 내역 맞게 직접 계산하는 것이 정확합니다.
- Q. 실질 소득은 왜 이렇게 적게 느껴지나?
A. 각종 공제, 수당 지급 조건 미충족, 근속/가족여부 차이 등이 크기 때문입니다.
댓글
댓글 쓰기